공진단 설명하는 동의보감 이미지
공진단 설명하는 동의보감 이미지
사향이미지

사향

사향노루의 배꼽과 성기 사이에 있는 주머니 속에 든 약재로 전 세계적으로 희귀한 고가의 약재입니다. 기운이 막혀서 쓰러질 때, 혹은 중풍이 올 경우, 콜레스테롤이 높을 때, 심장병이 있는 경우에 주로 사용하는데, 이는 인체의 막힌 기운을 소통시키는 힘이 강하기 때문입니다. 중풍 후유증에도 탁월하며 마음을 안정시켜주는 작용을 하기에 불면증에도 참 좋은 약재입니다. 또한 부인의 불임, 아이들의 경기(驚氣), 발달장애에도 좋은 효과를 냅니다. 남성의 정력제로도 아주 좋으며, 중국의 유명한 간 치료제인 편자환의 주성분이기도 합니다.

녹용 이미지

녹용

녹용은 사슴의 뿔로서 워낙 유명한 약재이고 공진단 재료 중 사향 다음으로 귀한 약재이기도 합니다. 녹용은 맛이 달고 성질이 따뜻합니다. 의서에 따르면, 각종 허손(虛損)을 보하고 (면역력증진, 키 성장, 허약체질 및 체력 개선), 여성의 각종 부인병, 남성의 정력문제, 어른들의 기억력감퇴, 치아의 문제, 폐·기관지가 약할 때 등 오장육부의 허약을 치료하는 데에 탁월한 약재입니다.

당귀 이미지

당귀

당귀(當歸)는 기혈작용이 혼란할 때 복용하면, 기혈이 각각 제자리로 돌아가게 하는 약리작용이 있다는 뜻에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보혈약(補血藥) 중 가장 우수하여 피를 도운다는 사물탕(四物湯)의 핵심 약재입니다. 빈혈이나 영양부족. 심장활동이 약한 사람, 병자와 건강한 사람 모두에게 좋아 적응증이 매우 많습니다. 피를 도와 대장을 기름지게 하니, 허약한 사람의 변비에도 좋습니다.

산수유 이미지

산수유

신허(腎虛)를 치료하며 정수(精髓)를 늘리고 허리 무릎을 보하고 이명증을 다스립니다. TV에서 ‘남자에게 좋은데 뭐라 말로 표현할 수가 없네~’라고 광고한 것처럼 남성의 정력제로 유명한 약재이나 남성뿐 아니라 여성의 허리, 무릎과 자궁, 난소 등의 문제에 좋습니다. 기억력감퇴, 갱년기장애, 대상포진에도 좋고 면역력을 높이는 작용을 합니다.


관련 논문(전문 정보)

한의학은 민간요법이 아닙니다. 과학적으로 전문성이 입증된 치료입니다.

목향(木香) 및 사향(麝香)이 저산소증 유발 배양 대뇌신경세포에 미치는 영향 (대한한방내과학회지, v.24 no.2, 2003년)
The Effect of Aucklandiae Radix · Moschus(木香 · 麝香)’s for Delayed Neuronal Death in Hypoxia

저자: 정승현 외 4명 | 기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참고논문

사향과 항암제 Mitomycin C의 병용효과 (동의생리병리학회지, v.17 no.6, 2003년)
The Combined Effect of Moschus and Anti-tumor drug Mitomycin C

저자: 은재순 외 2명 | 기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참고논문

공진흑원단(拱辰黑元丹)이 초기노화(初期老化) 흰 쥐의 항노화(抗老化) 및 항산화(抗酸化)에 미치는 영향 (사상체질의학회지, v.19 no.3, 2007년)
Anti-aging and Anti-oxidative Effect of Gongjinhugwon-dan in Early Stages of Aging Rats

저자: 이화섭 외 1명 | 기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참고논문

동충하초(Cordyceps sinensis)추출물을 첨가한 발효김치의 급여가 생쥐의 면역작용에 미치는 영향 (대한예방한의학회지, v.6 no.2, 2002년)
Effect of Kimchi containing Cordyceps sinensis extract on the Immine Function of Balb/c mice

저자: 안택원 외 2명 | 기관: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 참고논문

과도한 스트레스 상황에서 공진단의 만성피로회복 효과 동물 실험 모델(SCI급 국제학술지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2015년 4월 온라인판)
The traditional drug Gongjin-Dan ameliorates chronic fatigue in a forced-stress mouse exercise model

저자: 대전대 손창규 교수팀 | 기관: Journal of Ethnopharmacology | 참고논문

공진단 이미지1
공진단 이미지2